고객센터
[김선희의 소통테라피 14] 평생학습과 소통: 성장과 연결되는 기술
작성자관리자
본문
[한국강사신문 김선희 칼럼니스트] 우리는 지금 '평생학습'이 선택이 아닌 생존의 조건이 된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고,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재교육과 자기계발은 일상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많은 이들이 여전히 학습 앞에서 외롭고 막막하다고 말합니다.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지만 끝까지 듣지 못하고, 스터디 모임에 나가도 말 한마디 꺼내기 어렵고, 배우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혼자서는 한계를 느끼는 순간이 반복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가장 효과적인 학습은 '타인과의 소통'을 통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혼자만의 공부는 지식을 쌓을 수는 있어도, 성장으로 이어지긴 어렵습니다. 동료와의 토론, 멘토와의 대화, 학습 파트너와의 피드백 교환을 통해 우리는 단순한 정보 습득을 넘어 생각의 확장과 내면의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소통이 학습을 바꾸는 실제 사례
비서팀에서 근무하는 40대 이모 대리는 최근 회사에서 진행한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했습니다. 엑셀에 익숙했던 그는 처음 접한 파이썬과 챗GPT 활용법이 낯설기만 했습니다. 온라인 강의는 어렵게만 느껴졌고, 진도는 도무지 나가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팀 내 몇몇 동료들과 자발적으로 소규모 스터디를 만들고, 서로 실습 내용을 공유하며 질문을 주고받기 시작하자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혼자일 땐 내가 모자란 것 같아 위축됐는데, 다 같이 공부하니까 다들 비슷하다는 걸 알았어요. 질문하고 설명하다 보니 어느 순간 저도 남을 도울 수 있더라고요. 함께 공부하는 힘을 처음 느꼈어요."
퇴직 후 유튜브 콘텐츠 제작을 배우던 50대 박모 씨는 디자인 자격증 과정을 시작했지만 중간에 포기할 뻔했습니다. 그녀는 커뮤니티 게시판에서 비슷한 연령대 학습자들과 연결되어 '자격증 실전반'을 꾸렸고, 매주 온라인으로 서로의 과제를 피드백하며 함께 완주했습니다.
"혼자서 유튜브 영상만 봤다면 중간에 그만뒀을 거예요. 근데 매주 나누는 피드백과 응원이 배움의 버팀목이 됐죠. 결국 자격증도 땄고, 지금은 제 채널도 운영하고 있어요."
이들의 사례는 말해줍니다. 배움이 이어지는 곳엔 언제나 누군가와의 '소통'이 있었다는 것을 말이죠.
저 역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몇 년 전, 새롭게 자격증 공부를 시작하며 온라인 강의를 들었지만, 막상 내용을 정리하고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느껴졌습니다. 그러다 같은 과정을 듣던 코치님들과 스터디 그룹을 만들었는데요. 신기하게도 제가 누군가에게 설명하려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더 깊이 이해되었고, '혼자 아는 것'과 '말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다르다는 걸 몸으로 체감했습니다. 그 경험 이후, 저는 지금도 강의 중 학습자들에게 이렇게 말하곤 합니다.
"혼자 공부하지 마세요. 말로 나누는 순간, 배움이 시작됩니다."
평생학습에서 꼭 필요한 세 가지 소통 전략
그렇다면 평생학습 환경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소통 전략은 무엇일까요? 지금까지 칼럼에서 함께 배운 소통 도구들을 적용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평생학습에서 소통 도구 활용하기
그렇다면 평생학습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소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까지 우리가 함께 배운 소통 도구들을 학습 상황에 적용해보겠습니다.
첫째, K-DISC를 활용해 학습 스타일을 파악하세요. D형(주도형)은 빠른 결과와 실무 적용 사례를 원하므로 "이 내용을 실제로 어떻게 써먹을 수 있을까요?"라고 질문해보세요. I형(사교형)은 토론과 발표를 좋아하므로 "이 경험을 다른 분들과 나눠보시는 게 어떨까요?" 하며 소통 기회를 만들어주세요. S형(안정형)은 충분한 설명과 지지를 원하므로 "천천히 해도 괜찮으니까 편하게 말씀해보세요" 하며 안전한 분위기를 만들어주세요. C형(신중형)은 정확한 정보를 원하므로 "어떤 근거로 그렇게 생각하시는지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하며 깊이 있는 대화를 유도하세요.
둘째, 경청-질문-재진술의 학습 대화법을 활용하세요. "잘 안 되네요"라는 고민을 들었을 때 바로 해답을 제시하기보다는, "어떤 부분이 가장 어려우신가요?" "지금까지 시도해본 방법 중에 조금이라도 효과가 있었던 건 없나요?" 하며 상대방의 경험을 충분히 들어보세요. 그리고 "말씀하신 내용을 정리하면, 이론적으로는 이해가 되는데 실무에 적용할 때 막힌다는 말씀이시군요" 하며 이해도를 확인해보세요.
셋째, 욕구 기반 학습 동기를 부여하세요. "공부해야 한다"는 압박 대신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싶으신지 선택해보세요"(자율성 욕구), "실수해도 괜찮습니다. 함께 배워나가요"(안전 욕구), "이번 주 학습 성과가 정말 인상적이네요"(인정 욕구) 하며 상대방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세요.
○ 소통으로 만드는 학습의 선순환
평생학습에서 소통은 단순한 정보 교환을 넘어 학습자들 간의 시너지를 만들어냅니다.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다양한 관점을 교환하며, 함께 성장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학습 능력도 함께 향상됩니다.
특히 급변하는 시대에서는 혼자만의 학습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고, 동기를 유지하며, 더 깊이 있는 학습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 능력뿐만 아니라 소통 능력까지 함께 성장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진정한 성장의 시작
학습이 어렵게 느껴질 때마다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이 내용을 누구와 나누면 좋을까?" "다른 사람은 이걸 어떻게 이해했을까?" 혼자서 끙끙대기보다,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통해 해답을 찾아보세요.
소통과 학습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평생학습은 부담이 아닌 즐거운 성장의 여정이 될 것입니다. 학습을 통해 소통하고, 소통을 통해 학습하는 선순환의 고리를 만들어보세요.
다음 회에서는 '성장을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소통 기술'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그때까지 여러분의 학습 과정에서 소통의 힘을 한번 경험해보시면 어떨까요? 그것이 더 깊은 성장과 연결의 시작이 될 것입니다.
출처 : 한국강사신문(https://www.lecturernews.com)